[금상] 해방촌 틈을 깁다, 쪽모이 정원
동네정원, 우리 집 정원
-
- 일 시
-
- 주 최
-
- 장 소
-
- 주 관
-
- 문 의
작가
작품 설명
과거 해방촌 상징산업인 ‘니트’산업’을 모티브로 하여, ‘해방촌의 틈을 녹색실로 깁다’는 컨셉을 가져왔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텃밭으로 활용하고 있던 주민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실용원 성격을 더하였다.
틈을 깁다
해방촌의 틈을 정원 요소의 녹색 실로 깁다. 실용원을 조성해 주민들의 경작공간을 유지, 보수한다. 기존에 있던 구조물을 조형적으로 재해석하고 안정된 구조물을 제안한다. 해방촌에서 발생한 일상정원, 실용정원으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자발적으로 도시 가드닝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기존 텃밭, 구조물 이미지, 사용성을 보존시켜 동네 다른 공간과의 이질감을 최소화한다. 어울러 일찍이 해방촌에서 거주 및 활동해온 해방촌 공방, 니트협동조합과 소통하여 대상지에 함께 녹여낸다.
정원 시퀀스
자발적으로 발생한 도시 가드닝이 이어질 수 있도록 했으며, 화사한 이미지와 가을의 정취를 도시 속에 담았다. 플랜터의 니트실 연출로 포토존의 역할까지 수행했다. 또한 기존의 덩굴식물 텃밭의 사용성을 보존함과 동시에 낮은 덩굴식물 식재로 휴게공간의 시야를 확보했다.
해방촌
해방촌에 처음 왔을 때 인상 깊은 점은 판자촌으로 시작된 도시 공간이라는 것이었다. 규칙적으로 짜인 공간이 아니므로, 곳곳에 자투리 공간이 많았다. 기존 주민들이 실용원이나 정원으로 구성해놓은 부분을 성격은 유지하되 엉성한 틈새공간을 녹색 실로 기워 나갔다.
작품조성과정
최종완성